-
교제폭력 피해 조기발견을 위한 진단도구 보급 추진
교제폭력 피해 조기발견을 위한 진단도구 보급 추진 –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상담사용, 대국민용(성인·청소년)) 3종 개발, 3개월간 시범사용 후 5월중 보급 – □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 피해자를 조기에 발굴하여 효과적으로 지원하도록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이하 진단도구)」 개발 및 시범 사용을 추진한다. ㅇ 진단도구는 ‘24.6월 발표한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방안」에 따라 개발(연구자: 건국대 글로컬 캠퍼스 강소영 교수(경찰학))된 것으로 피해자 지원기관에 보급하는 상담원용과 대국민용 2종(성인․청소년) 등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번에 시범 사용되는 상담원용 진단도구는 교제폭력의 행위유형*별 내담자의 피해내용과 가해자와의 관계에서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을…
-
외국인 주민과 함께 서울 변화 이끈다! 2025년 서울생활 살피미 출범
□ 서울시는 오는 2월 14일(금) 오전 10시, 서울시청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2025년 외국인 주민 서울생활 살피미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외국인 주민이 직접 서울시정에 참여해 정책과 생활환경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울생활 살피미’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자리다.○ 행사에는 이해선 서울시 글로벌도시정책관과 이민·이주노동 분야 정회옥 서울시 명예시장이 참석하여 외국인…
-
경기도 ’25년 AI도민서비스로 고독사 예방 AI확대, 연중무휴 대응체계 구축
경기도가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365일 1인가구의 안부를 자동 확인하고, 활동 이상 징후 감지 시 즉각 출동하는 고독사 예방 사업의 정확도와 대응 속도를 높여 추진한다. 경기도는 10일 경기도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AI(인공지능)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사업’에 대한 서비스 강화방안을 소개하고 사업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해 본격 도입된 ‘AI 고독사 예방·대응 서비스’는 주 1회…
-
경기도, ‘찾아가는 집수리 기술자문’ 대상 소규모 공동주택까지 확대
집수리를 원하는 단독주택을 시공설비 등 건축 전문가들이 직접 방문해 현장 상황에 맞는 공사방법을 제시하는 등 자문 활동을 해주는 경기도의 ‘찾아가는 소규모 노후주택 집수리 기술자문’ 사업 지원 대상이 올해부터 30세대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까지 확대된다. 2023년 시작된 이번 사업은 적절한 공사방법을 알기 어렵거나 공사업체를 직접 선정하기 어려운 고령자나 비전문가를 지원해 주민들의 부담을 덜고, 주택의 유지 및 보수…
-
경기도 “저소득가정 농식품 바우처, 17일부터 신청하세요”
경기도는 취약계층이 신선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카드를 발급·지원하는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을 받는다고 12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범사업을 거쳐 올해부터 전국으로 확대해 추진하며 경기도에서는 참여의사를 밝힌 22개 시군이 참여한다. 도는 생계급여 수급가구(기준 중위소득 32%) 중 임산부‧영유아‧아동(만 18세 미만)이 포함된 약 9천여 가구를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금액은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4인 가구…
-
모든 가족이 언제나 든든하도록 🏠 #가족센터
🏠 가족센터 문의 1577-9337 https://www.familynet.or.kr
-
다시 일하러 가는 이유가 5
한참 침묵이 이어지고, 생각나는 사람이 나밖에 없다던 아이는 끝내 도와달라는 소리는 하지도 못하고, 나지막이 울다 전화를 끊었다. 마음이 다시 무거워졌지만 기뻤다. 그런 상황에서 생각나는 사람이 나밖에 없다니! 아이가 처한 환경보다, 그런 환경 가운데서 나를 찾아줬다는 사실이 기쁜 마음으로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게 만들었다. ‘그래 내가 도와줘야지.’ 고민은 하지 않았다. 사실 내가 하는 일이 그런 것 아니겠는가….
-
발달 청년 일자리 늘리고 직장 적응 돕는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희망별숲’ 방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월 11일(화) 15시 경기 용인시 ‘희망별숲㈜’를 방문해 발달장애 근로자들을 격려했다. 이곳은 삼성전자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300명이 넘는 발달장애인을 고용하고 문화생활 등 장애인 근로자의 복지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은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능력에 맞는 일자리와 복지를 제공한다. 정부는 청년(15~29세) 장애인 68%를 차지하는 발달장애인이 걱정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