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5→10일로 확대,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등육아지원 3법 시행(2.23.) 관련 대통령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고용노동부는 2월 11일(화) 국무회의에서 지난 10월 22일 공포된 육아지원 3법의 후속 조치를 위해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 대통령령안(시행일 ’25.2.23.)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➊ 임신초기 유산·사산휴가 기간 확대(「근로기준법 시행령」)임신초기(11주 이내) 유산·사산휴가가 5일에서 10일로 확대된다. ‘22년 기준 유산·사산 건수가 89,457건으로 고령 임신부 증가 등에 따라 출생아 수 대비 유산·사산 비율이…
-
중장년 경력지원제
출처: 고용노동부
-
육아지원제도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 의결
출처: 고용노동부
-
경기도, 치매환자 돌봄 부담줄이는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 10일부터 시행
경기도가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 지원’ 제도를 본격 시행한다. 치매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지원 대상도 확대해 지난해 4만3천 명 대비 7천 명이 증가한 약 5만 명이 검사비와 치료비를 지원받게 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5 경기도 치매케어패키지’ 계획을 발표하고 10일부터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이 제도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부득이한 외출이나…
-
초고령사회 대응 위해 치매전담병동과 공공요양시설 확충 계획 밝혀
주형환 부위원장, 초고령사회 대응 위해 치매전담병동과 공공요양시설 확충 계획 밝혀 – 「지역사회 중심 통합돌봄체계 강화방안」 발표 후 첫 요양병원·요양시설 방문 간담회 –요양병원을 치매·재활 등 치료 중심으로 확대 추진 –경증치매환자 주야간보호 이용시간 최대 5일로 늘리는 방안 검토 -공공요양시설 없는 시군구(53개) 중심으로 공공요양시설 확충하고, 유니트케어(1·2인실) 확대 위한 시설 개·보수비용 및 수가 추가 지원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은 2월 6일(목) 노인전문병원과 공공요양시설을 잇달아 방문하여 간담회를 개최하고, 치매전담병동과 공공요양시설을 확충하고…
-
초고령화시대 신산업동력 ‘Age-Tech 기반의 실버경제 육성’ 방안 모색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초고령화시대 신산업동력 ‘Age-Tech 기반의 실버경제 육성’ 방안 모색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Age-Tech 기반의 실버경제 육성’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 ❶돌봄인력 부족문제 해소, ❷고령자의 건강수명 연장, ❸신성장동력 창출 등 파급효과가 큰 Age-Tech 기반의 실버경제 육성 필요 – Age-Tech 관련 R&D 확대, 규제혁신, 신기술‧신제품 보급확대, 창업 및 해외진출지원 등 다양한 정책과제 논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주형환 부위원장, 이하 “위원회”)는 2월…
-
2025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2025.02.06 보건복지부 출산 후 산모와 아이를 위한 의료 및 건강관리 지원부터 신생아부터 초등생까지, 각 가정에 맞는 돌봄 지원으로 양육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 정책을 소개합니다. ① 생애초기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 임산부 및 만2세 미만 영아 대상 건강, 영아발달상담 등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78개 시군구에서 확대 운영합니다.· 지원대상 : 보건소 등록한 임산부 및…
-
단시간 근로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
출처: 고용노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