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이상의 정신질환자 중 사회적응훈련 등이 필요하고 자·타해의 위협이나 전염성 질환이 없으면 누구나 입소가능
– 병원에서 지역사회까지 치료·재활 연속성 유지 –
– 정신질환자의 자립과 회복을 위한 기반 마련 –

보건복지부 국립부곡병원(병원장 이태경)은 2025년 9월 24일(수) 오후 3시 정신질환자가 퇴원 후 안정된 주거환경에서 생활하면서 다양한 재활훈련을 통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신재활시설을 개소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날 개소한 시설(온담*)은 생활시설로, 일상생활훈련, 사회적응훈련, 직업재활훈련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온전한 회복을 지원한다. 시설에는 정신의료기관에서 정기적으로 치료 중인 18세 이상의 정신질환자 중 사회적응훈련 등이 필요하고 자·타해의 위협이나 전염성 질환이 없으면 누구나 입소할 수 있다.
- (온담) 개소한 정신재활시설의 명칭으로 전국민 대상 명칭 공모전 최우수 수상작으로 “따뜻할「온(溫)」, 담다의「담」”을 합성 이번 시설 개소로 정신질환자들이 정신의료기관에서부터 지역사회까지 치료·재활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온전한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통합정신건강서비스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이들의 자립과 회복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정신재활시설이 부족한 경남 지역* 정신질환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 (’25. 정신재활시설 설치 현황) 전국 358개소, 수도권 182개소(51%), 경남 6개소(1.7%)
(’25 정신건강사업안내)
이태경 국립부곡병원장은 개소식에서 “정신질환자들이 퇴원 후 안정적으로 지역사회에 정착하고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회복 중심의 정신건강모델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김일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장은 축사에서 “정신재활시설이 부족한 경남 지역에 국립기관의 시설이 설치된 것을 반갑게 생각하며, 보건복지부도 정신질환자의 회복 지원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전했다.
출처: 보건복지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