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간 368개 자원봉사캠프에서 8만 9천여 명의 활동가가 고립 이웃 위한 활동 펼쳐
- 안부 인사, 음식 나눔, 운동회 등 일상 속 즐거움을 찾으며 외로움 지수 15.3%(3년 평균) 감소 확인
- 사각지대 이웃 약 6,000명을 발굴·지원하고, 소외 이웃이 함께할 수 있는 자원봉사 추진

□ 서울시자원봉사센터가 서울시 25개 자치구 내 368개 동단위 자원봉사캠프와 함께 펼치고 있는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소외 이웃의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자체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에 따르면 ‘내곁에 자원봉사’를 통해 지역돌봄 참여자의 사회적 외로움 지수가 지난 3년(’22년~’24년) 평균 15.3% 낮아지고, 사회적 신뢰도는 평균 10%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설문조사에서 사회적 외로움 지수는 2022년 21점, 2023 15.3점, 2024 9.5점으로 각각 감소하여,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 활동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외로움․고립감) 해결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22~2024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사전-사후응답 설문조사, 2,049명 참여)
□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 통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8만 9천여 명의 활동가가 16만명 이상의 소외된 이웃을 만났으며, 올해도 9월 2일 기준 3,350명의 활동가가 5,460명을 찾아 돌봄활동을 벌이고 있다.
○ (활동가) 연인원 기준 ’22년 11,791명, ’23년 21,656명, ’24년 55,669명의 자원봉사 활동가가 참여했고,
○ (대상자) 연인원 기준 ’22년 25,421명, ’23년 41,601명, ’24년 97,384명의 소외 이웃을 도왔다.
□ 특히 2024년부터 보다 적극적으로 소외 이웃을 발굴하는 것에 집중하여, 사회적 고립, 가정 해체, 질병 등 긴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 사각지대의 이웃 약 6,000명을 직접 찾아 지원하였다.
○ ’24년 및 ’25년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 대상자 중에는 기초생활수급 등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이웃 약 6,000명(‘24년 2,642명, ’25년 3,293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활동가들이 사각지대 이웃을 직접 발로 뛰어 찾은 결과이다.
□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는 자치구자원봉사센터와 동주민센터 및 동단위 자원봉사캠프 등 민관의 협업으로 추진되며,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는 활동가 양성 등 다양한 방면으로 캠프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내곁에 자원봉사’ 사업운영 매뉴얼을 제공하고, 사업운영비 및 물품을 지원하며, 활동가 역량강화 교육 운영 등을 진행한다.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내곁에 자원봉사’ 운영 캠프를 선정하고 참여 캠프를 대상으로 교육 및 회의를 진행하며 활동성과 측정 및 결과를 취합한다.
○ (동 주민센터)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발굴하며 행복e음 시스템 기록 등 활동에 대한 사후관리를 담당한다.
○ (자원봉사캠프) 직접 고립 이웃을 찾고, 안부를 묻고, 물품을 전하고, 봉사활동을 함께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 서울시자원봉사센터는 자치구자원봉사센터, 동주민센터, 자원봉사캠프 간의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지난 4년간 368개의 자원봉사캠프에 약16억 원을 지원하며 지역사회 자원봉사를 활성화를 돕고 있다.
○ ’22년 106개(약 1억 9천만원), ’23년 224개(약 4억), ’24년 306개(약 5억 8천만원, ’25년 292개 캠프(약 4억2천만원)을 지원하였다.
□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는 ▲복지 사각지대 이웃을 발굴하는 ‘찾기’, ▲정기적으로 안부를 묻는 ‘묻기’, ▲반찬과 생필품을 전달하는 ‘전하기’, ▲함께 활동하며 신뢰와 연대감을 형성하는 ‘함께하기’ 등 4가지 핵심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 주요 활동으로는 △안부전화·문자와 음식 전달의 돌봄 봉사,△원데이 클래스와 요리교실·수공예 등 재능 나눔 봉사, △환경정화·탄소중립·줍깅 등 환경 봉사, △빗물받이 점검과 화재 예방, 재난 예방 등 안전 봉사 등이 있다.
○ 또한 봉사활동을 통해 지원받았던 취약계층 대상자들이 강화된 연대감을 기반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나눔의 선순환 구조도 만들어 가고 있다.
□ 영등포구 문래동 자원봉사캠프에서는 캠프활동가와 어르신이 함께 텃밭을 가꾸고 수확한 채소로 음식을 같이 만들어 먹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웃과의 연결망을 넓혀가고 있다.
○ 활동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오늘은 함께 음식을 해 먹는다고 해서 노인정 대신 이곳에 왔다. 다 같이 부침개도 부치고 이야기도 나누니 무척 즐거웠다.”며 소감을 전했다.
○ 또한 문래동 자원봉사캠프장 김미자 씨는 “복지제도의 조건에 맞지 않아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있는데, 자원봉사캠프는 이런 공백을 채울 수 있다”며 “20년 가까이 봉사활동을 이어오지만 여전히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참 감사하고 보람차다”고 말했다.
○ 김미자 씨는 이날 오지 못한 이웃들에게도 소외감이 없도록, 함께 만든 반찬을 챙겨 전하고 안부를 나눌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자원봉사캠프 정의 : 자치구 자원봉사센터 및 동 주민센터와의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동 단위자원봉사 활성화를 촉진하는 자원봉사 거점
□ 용산구 용산2가동 자원봉사캠프에서는 동네 어르신들과 함께 오재미 놀이, 페트병 볼링 등을 즐기는 미니 운동회를 개최하여, 활동가와 어르신이 함께 웃고 응원하며 자연스럽게 이웃 간의 정을 나누는 계기를 만들었다.
○ 이번 운동회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고, 오랜만에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 활동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좋은 날씨에 밖에 나와 게임도 하고 상품도 받으니 너무 즐겁다. 이렇게 많이 웃어본 게 얼마 만인지 모르겠다”며 웃음을 지었다.
○ 캠프장 배동기 씨는 “어르신들은 평소 소근육을 잘 사용하지 않는데, 이런 활동을 통해 건강을 챙기며 오래 함께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복지 사각지대 이웃들이 더 많이 웃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싶다”고 전했다.
□ 동작구 신대방2동 자원봉사캠프에서는 ‘함께하는 양배추 물김치 만들기 1+1’을 진행하여 활동가와 어르신이 함께 만든 물김치를 어르신께 2통씩 드려 그 중 하나를 어르신 주변의 이웃에게 나누는 활동을 하였다.
○ 1+1 활동을 통해 어르신이 도움을 받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만든 물김치를 우리 동네 이웃에게 나누어줌으로써 이웃 간의 연대와 소속감을 만들어가기 위한 시작을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원한 것이다.
○ 활동에 참여한 어르신 한 분은 “오늘 먹을 반찬이 없었는데 나도 반찬을 먹을 수 있고, 나뿐만 아니라 옆집의 아픈 할아버지에게 반찬을 가져다줄 수 있어 마음이 뿌듯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 캠프장 남귀자 씨는 “내곁에 자원봉사를 통해 찾은 어르신 한 분을 복지관에 연계해 드렸으며 어르신이 현재는 자원봉사활동을 열심히 하고 계신다.”며 “우리의 활동을 통해 어르신들이 동네에서 역할을 하실 때 보람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 ‘지역돌봄 내곁에 자원봉사’에 함께한 어르신들은 “만나면 시간이 너무 짧게 느껴져 늘 아쉽다. 다음 만남이 손꼽아 기다려진다”며, “앞으로도 더 자주 함께하고 싶다”는 기대와 바람을 전했다.
□ 송창훈 서울시자원봉사센터장은 ‘복지 사각지대 이웃과 함께 정겨운 동네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특히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는 소외된 이웃과 따뜻함을 나눌 수 있는 송편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라고 말했다.
□ 관련 자원봉사활동 및 기타 문의는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기획연구팀(☎02-2136-8715, 누리집 https://volunteer.seoul.go.kr)으로 하면 된다.
출처: 서울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