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개월 이상 성실상환하면 통신이용이 재개됩니다 📱
금융·통신 통합채무조정 2025.03.13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채무자에 대한 경제적 재기를 돕기 위해 금융·통신 통합채무조정을 시행중입니다.▶ 채무자가 금융채무 뿐 아니라 통신요금이나 휴대폰 소액결제대금을 함께 연체한 경우 채무조정을 신청하면 금융채무와 통신채무를 ‘한 번에’ 조정받아 갚을 수 있는 수준으로 채무 감면 및 최장 10년에 걸쳐 나누어서 갚을 수 있도록 지원 통신채무가 연체되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구직활동 등…
-
우리 아이의 꿈이 자라나는 교육비와 교육 급여, 지금 바로 신청해요! 🏫
오는 3월 21일 금요일까지 2025년도 교육비·교육 급여 집중신청기간 2025.03.13 정책기자단 이정혁 작년 이맘때쯤에도 교육비와 교육 급여에 관한 안내를 받은 기억이 있다. 정부는 매년 초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아이들이 원만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비와 교육 급여 집중 신청 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3월 4일 화요일부터 21일 금요일까지 약 3주간을 집중 신청 기간으로 정했다. 집중 신청…
-
“선생님에서 멘토로”…서울시,‘서울런 시니어 멘토링’확대 운영 👨🏫
서울런 누리집 □ 서울시 대표 교육복지사업 서울런이 ‘시니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 교육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40세 이상의 전문가로 구성된 시니어 멘토는 학습지도를 넘어 정서적 돌봄과 가정 내 갈등 조정 역할까지 폭넓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부모 세대와 비슷한 연령대의 멘토들이 멘티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깊이 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시니어…
-
야간에도 토요일에도 집 구할 땐, 서울시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
전월세 계약상담 □ 직장, 학업 등으로 평일 낮에 시간 내기 힘든 1인가구를 위해 서울시‘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운영시간이 확대됐다. 서울시는 10개 자치구에서만 제공하던 토요일 서비스를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했으며, 새롭게 야간시간 운영을 도입했다. □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는 부동산 정보에 취약한 1인가구(독립예정가구 포함)가 안정적으로 주거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료 서비스이다. □ 서비스 신청자는 주거안심매니저로부터…
-
「아동복지법」,「노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
보건복지부 소관 17개 법률안 3월 13일 국회 본회의 통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3월 13일(목) 제423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아동복지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보건복지부 소관 17개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각 법률안에 대한 주요 내용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① (재학대 가정 사후관리 강화 등) 아동권리보장원장 또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장의 아동학대…
-
항상 대기중 아가씨 200명 중에 5 👱♀️
어두운 밤, 술집들이 모인 유흥가, 그리고 깡 패들, 이것들 모두가 ‘조화롭게 보여 더 무서웠다. 한참을 멍하니 서서 아무것도 못하고 있는데, 불현듯 그 아이와 한 통화 내용이 생각났다. ‘생각나는 사람이 선교사님뿐이라서요.?’ 그 말이 떠오르자 정신이 차려졌다. 나는 저 술집에 가야 한다는 것을. 다시 용기를 내어 발을 떼려고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발이 떼어지지 않았다. 힘이 풀려 주저앉고…
-
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
’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일반현황) 청년 가구주 가구에 살고있는 청년은 51.3%, ㅇ 미혼 청년은 81.0%, 1인가구 청년은 23.8% (경제)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13만원, 청년 개인의 평균 소득은 2,625만원, 평균 부채는 1,637만원, 평균 재산은 5,012만원 (노동) 취업자 비율은 67.7%, 월소득은 266만원, 전일제가 80.4% (주거) 독립생활하는 청년은 45.6%, 주거 점유형태는 자가(부모소유 포함) 49.6%, 전세…
-
서울시, 결식아동 ‘꿈나무카드’ 단가 9,500원으로 인상…AI로 부적합가맹점 거른다 🧒👦
□ 서울시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결식아동 급식 지원 단가를 기존 9,000원에서 9,50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급식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고 아동들에게 안정적으로 식사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이다.○ 서울시에서 결식 우려로 급식을 지원받고 있는 아동은 ’24년 12월 말(방학 중) 기준 27,346명이다. 지원 방법별로 아동급식카드(이하 ‘꿈나무카드) 15,486명, 지역아동센터 등 단체급식소 11,274명, 도시락·부식 배달 586명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 시기인 ’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