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희망사다리]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진로설계·교육활동비
2025.04.18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다문화가족 자녀가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요. 다누리콜센터 : 1577-1366 ▲ 지원대상 구분 지원대상 기초학습 지원 미취학 또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아동 진로설계 지원 7~24세 다문화아동·청소년 교육활동비 지원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를 받지 않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다문화가족의 7~18세 자녀 ▲ 지원내용· 기초학습 지원: 취학 전후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읽기·쓰기·셈하기 등 기초학습 지원…
-
경기도, ‘경기청년 연구 랩업(Lab Up!)’ 오리엔테이션 개최. 청년공동체 연구 시작
경기도와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 추진하는 ‘2025년 경기청년 연구 랩업(Lab Up!)’ 오리엔테이션이 지난 19일 경기아트센터 컨벤션홀에서 개최됐다. 2024년 주민참여예산 청년참여형 선정 사업으로 추진된 ‘2025년 경기청년 연구 랩업(Lab Up!)’은 청년공동체가 직접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연구하고, 청년 당사자의 눈으로 청년 정책 발전 방향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참여형 연구 사업이다. 올해 첫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23개팀 모집에 총 129개 팀이 신청해…
-
서울시, 전 연령층 대상 ‘구인・구직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신설…연말까지 상시운영
“일자리센터 상담은 단순한 일자리 정보 제공과 연계를 넘어, 다시 사회에서 가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정서적인 지지와 용기를 북돋아 준 시간이었습니다.”(서울시 일자리센터 이용자 후기) □ 서울시가 취업전 실무를 먼저 배우고 싶은 청년부터 나이가 많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시니어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 제공에 나선다. □ 일자리 상담, 역량강화, 취업알선 등 일자리…
-
대한민국 청소년, 역사를 품고 미래를 연다 🔮
– 제21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개최(5.22.~5.24.) – – 광복 80주년 기념해 역사 및 광복 의미 되새기는 체험 공간 ‘나라사랑마당’ 등 6개 분야의 200여 개 운영 – – 유성열 백석대 교수 등 청소년 정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에게 정부포상 18점 수여 – 여성가족부는 22일(목)부터 24일(토)까지 3일간 안동국제컨벤션센터(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소재)에서 ‘제21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2005년에 시작되어 올해로 21회째를 맞이하는…
-
경기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 ‘스우커(Start of Women’s Career)’ 발대식 열어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19일 ‘스우커(Start of Women’s Career)’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온라인 발대식을 개최했다. ‘스우커(Start of Women’s Career)’는 경기도내 대학 여학생들의 조기 취업과 커리어 개발을 돕기 위해 마련된 청년 여성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경기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 지역새일센터, 도내 대학이 협력해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도내 22개 대학에서 선발된 260여 명이 참여했다. 참여대학은 가천대, 강남대, 경기대 등 기존 15개교에…
-
거리에서 일터로… 서울시,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자립 토대 놓는다 👨🔧
□ “그냥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자리’입니다” 서울시 동부병원 응급실 보조로 일하는 강 모 씨(65세)는 사업에 실패하고 가족과 헤어진 뒤로 노숙 생활을 하다가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재기에 성공했다. 강 씨는 그동안 받았던 따뜻한 응원과 지원을 되갚는단 마음으로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에 3년째 정기후원하고 있다. □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25년도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지원에 들어간다. 시는 ▴공동작업장 ▴공공일자리 ▴민간…
-
출장이나 야근 등 갑작스럽게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상황이라면? 🍼 경기도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출장이나 야근 등 갑작스럽게 아이를 돌볼 수 없는 상황이라면? 돌봄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지만 경제적 부담 때문에 망설이는 경우라면 경기도가 제공하는 찾아가는 가정 보육서비스,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다.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아이돌봄 서비스’는 생후 3개월 이상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으로 직접 찾아가 돌봐주는 보육서비스다. ▲야간, 주말 등 긴급상황 발생시 ‘방문형 긴급돌봄 서비스’ ▲꼭 필요한 시간만큼만 돌봐주는 ‘시간제 돌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