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아동 168가구에 7.5억 지원…보다 나은 성장 환경 제공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아동 168가구에 7.5억 지원…보다 나은 성장 환경 제공

    □ 물이 새고 곰팡이가 피는 지하방에 살면서 비염으로 고생하던 최우찬(가명) 아동은 가족들이 서울시로부터 보증금을 지원받아 지상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다. 이사를 한 후 아동은 비염이 호전되었으며, 보다 안정적인 주거환경으로 옮겨간 것에 만족하는 중이다. □ 서울시는 아동이 보다 안전한 주거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월드비전,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와 손잡고 지난해 5월 말부터 올해 8월 말까지 1년 남짓한 기간동안 168가구에 7억…

  • 경기도, 이천·동두천·양평에서 70세 이상 교통비 지원 시범사업…연 최대 36만 원 환급

    경기도, 이천·동두천·양평에서 70세 이상 교통비 지원 시범사업…연 최대 36만 원 환급

    경기도가 어르신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7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교통비 지원 사업을 시범 시행한다. 이번 사업은 이천시, 동두천시, 양평군에서 우선 시행되며, 기존 어르신 지하철 무임 이용 카드인 G-PASS 카드 혜택에 더해 시내버스, GTX 등 수도권 교통수단 이용 요금을 지역화폐나 현금으로 환급한다. 도는 70세 이상 도민이라면 소득과 연령에 관계없이 연 최대 24만 원까지 교통비를 환급하며,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있지 않는 어르신의 경우 추가 인센티브를 더해 연…

  • 9월 1일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개선안 시행

    9월 1일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개선안 시행

    꼼수 소액 이행 불가! 2025.09.02 여성가족부 9월 1일(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개선안 시행.소액의 양육비를 받은 한부모가족도, 이제 양육비 선지급 신청이 가능해요! ■ 양육비 선지급제란?양육비를 받지 못한 양육비 채권자(양육자)에게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추후 양육비 채무자로부터 회수하는 제도. ■ 신청 대상 및 요건(개선사항)Q.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1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양육비 채권자 중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24년 15~64세 고용률 상승폭은 ’15년 대비 남성(0.9%p)보다 여성(6.4%p)이 더 큼‘24년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는 58.5%로 ’15년 대비 11.3%p 증가‘24년 1인 가구 중 남성은 30대(21.8%), 여성은 60대(18.7%) 가장 많아9월 양성평등주간을 맞이하여 남녀의 모습을 9개 영역 44개 지표로 조망 □ 여성가족부는 제30회 양성평등주간(9.1~9.7)을 기념하여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로 분석한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2일(화) 발표했다….

  • 사회적고립 시민을 위한 서울연결처방, 4개월간 약 500명 이용

    사회적고립 시민을 위한 서울연결처방, 4개월간 약 500명 이용

    □ 서울시복지재단 고립예방센터(이하 ‘센터’)는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시민들을 위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서울연결처방 사업을 3월말부터 4개월간 799명이 상담을 받고, 478명이 실제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서울연결처방 사업은 ‘외로움 및 고립가구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고립당사자를 확인하고, 적합한 프로그램을 처방(연계)하여 사회적 고립으로 파생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 서울연결처방은 영국의 ‘사회적 처방(Social Prescribing)’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 취약계층 지원, 더 두텁게 넓히겠습니다!

    취약계층 지원, 더 두텁게 넓히겠습니다!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2025.08.29 기획재정부 돌봄·치료·생계 지원 더 두텁게 넓히겠습니다. <취약근로자>■ 도산사업장 체불임금 대지급 범위* 확대,산재보상 신청 후 일정기간 경과시 요양·휴업급여를 우선 지급(’26.上) <장애인>■ 주간돌봄(발달장애인)·일자리 확대(’26.上) <자살위험군>■ 고위험군 치료비 지원 강화(’26.上) <한부모>■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급 소득기준* 제도 개선 방안 마련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블로그 검색

🗞️ 한생명뉴스

[국민일보] “약자 돌보라는 말씀 좇아 청소년 미혼모 부축”

엄마들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짓게 되었습니다

애터미 도경희 부회장, 한부모가정 지원 위해 추가 3억 원 기부

📮 2025년 뉴스레터 6월호

🌐 해외봉사

📹 한생명복지재단 홍보영상

📹 한생명복지재단 홍보영상

📔 한생명복지재단 도서발간

🦸‍♂️ 우리동네 히어로

@OneLife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