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부터 중장년 ‘행복한밥상’ 25개 자치구, 청년 ‘건강한밥상’ 11개 구에서 운영 시작
- 가정식 및 전통음식‧다문화 요리 클래스뿐 아니라 식생활 챌린지‧사회 환원 활동까지
- 시 “함께 요리하고 소통하며 따뜻한 시간 될 행복한밥상‧건강한밥상에 많은 참여 바라”
□ “그동안 배달 음식만 주문해 먹었던 제가 요리를 배우면서 처음으로 밥솥을 장만했어요!(’24년 행복한 밥상 참여자, 은평구 거주)” 서울시가 1인가구의 건강한 식생활 유지와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돕는 특별한 쿠킹 클래스 운영에 들어간다.
□ 서울시는 내달부터 ’25년도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중년(40~67세) 1인가구 ‘행복한 밥상’ 3,500명 ▴청년(19~39세) 1인가구 ‘건강한 밥상’ 800명을 모집(연중 수시) 하며, 희망하는 시민은 거주 중인 자치구로 신청하면 된다.
○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외로움 없는 서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Social Dining)’은 비슷한 관심사 등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 요리와 식사를 하며 인간관계를 맺는 프로그램으로 중장년과 청년으로 대상을 나눠 진행된다.
□ 시는 올해부터 요리를 배우고 함께 밥을 먹을 뿐 아니라 건강 유지를 위한 식생활 챌린지 및 사회 봉사활동까지 연계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또 보다 많은 1인가구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난해 11개 구에서 진행된 행복한 밥상(중장년)은 25개 전 자치구로, 5개 자치구에서 진행된 건강한 밥상(청년)은 11개 자치구로 확대 운영한다.
○ 지난해까지 40~64세 중장년을 대상으로 운영했던 ‘행복한 밥상’ 참여 연령도 올해부터는 40~67세까지로 늘렸다.
○ 아울러 직장, 학업 등으로 평일 낮 시간대를 내기 어려운 1인가구도 참여할 수 있도록 평일 저녁 또는 주말 프로그램도 편성할 계획이다.
(중장년) 행복한 밥상 : 25개 전 자치구
(청 년) 건강한 밥상 : 강남구, 관악구, 금천구, 동대문구, 동작구, 서초구, 성동구, 성북구, 영등포구, 은평구, 중구
□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에서는 요리 전문 강사의 진행으로 일상 속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한 가정식을 중점적으로 배운다. 직접 재료를 손질하고 조리하는 실습을 통해 스스로 건강한 한 끼를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목표다.
○ 특히 저염․저당 밥상, 저속노화 밥상, 간단한 원팬․한그릇 요리뿐만 아니라 특별한 맛과 경험을 선사하는 멕시칸․동남아 등 다문화 음식, 여름철 기력 회복 음식, 명절 음식, 한국 전통 간식, 송년회 음식 등 특별 요리 수업도 진행된다.
□ 그 밖에도 체육․문화 활동 등 소통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해 요리를 매개로 모인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 폼롤러․소도구를 활용한 실내운동, 공원․둘레길 나들이, 플로깅, 음악 명상, 식문화 배우기, 식재료 기르기, 지역 축제 참여, 독서 모임, 주방 세제․비누 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
□ 올해는 저염․저당․저칼로리, 집밥 먹기 등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주제의 ‘식생활 챌린지’를 통해 1인가구의 자기주도적 식생활 관리를 돕고, 요리교실과 연계한 ‘사회 환원 활동’을 도입해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나눔을 실천할 계획이다.
○ 보건소와 연계한 염도 측정 활동, 주 3회 집밥 차리기, 텀블러 활용하여 물 마시기, 외식비 절약 기록하기, 나만의 특별식 공유하기 등 일상 속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는 활동으로 챌린지를 진행할 예정이며 취약계층을 위한 김치․밑반찬, 보양식, 피크닉 도시락 나눔 등 지역사회 환원 활동도 함께 한다.
□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 행복한 밥상(중장년), 건강한 밥상(청년)은 서울시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서울시 1인가구 누리집(1in.seoul.go.kr)을 참고해 원하는 과정에 신청하면 된다.
□ 한편 ’23년 시범 사업으로 시작된 행복한 밥상과 건강한 밥상은 지난해 20개 자치구에서 252기수 운영했으며, 1인가구 총 3,965명이 참여했다. 참여자 설문조사 결과, 약 95%가 ‘만족한다’고 응답하고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거나 또 참여하고 싶다고 답했다.
○ 중장년을 위한 ‘행복한 밥상’은 3,312명이 참여(15개 자치구)해 95.2%가 만족했으며, 653명이 참여(5개 자치구)한 청년을 위한 ‘건강한 밥상’은 94.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 김수덕 서울시 돌봄고독정책관은 “우리가 함께 밥 먹으며 살아가는 가족을 ‘식구(食口)’라 부르듯 1인가구가 마치 가족처럼 모여 밥 먹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소셜다이닝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외로움 없는 서울을 위한 행복한 밥상․건강한 밥상 프로그램에 1인가구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서울시
답글 남기기